국내에서 HVAC 분야의 여러 자료를 보다보면 용어가 혼재된 경우도 있고,
북미 중심의 학술자료들과 국내의 건축물현황이 다르다보니 헷갈리는 경우들이 있습니다
한번쯤 정리를 해보고 싶어서 오랜만에 블로그에 포스팅을 합니다
이 포스팅에서는 각 설비별 작동원리를 자세히 설명하기보다는
명칭을 구분하는 주요한 특징에 집중합니다
HVAC (Heating, Ventilation, Air Conditioning) 의 첫번째 목표는
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것입니다
이를 담당하는 설비를 열원설비 또는 열원장치라고 합니다
(1) 칠러
북미 등 해외지역이나 국내의 대형시설에서 주로 사용하는 열원설비는 칠러(Chiller) 입니다
냉동기라고 번역할 수 있는데, 난방용 온수도 공급할 수 있는 칠러는 냉온수기로 부릅니다
'냉수' 또는 '온수'를 공급하는 수배관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냉매를 이용한 냉각사이클을 이용하며 운전방식에 따라 압축식과 흡수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
(1-1) 수랭식 칠러
냉수를 공급하고 나서 발생한 열을 냉각수를 통해 배출하는 방식을 수랭식이라고 합니다
계통도에서 압축기(1번)에서 고온고압의 냉매가 응축기(4번)에서 냉각수에 의해 냉각됩니다
이 냉각수는 냉각탑으로 이동되어 증발에 의해 건축물 밖으로 열을 배출합니다
(1-2) 공랭식 칠러
냉각수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대기중으로 열을 배출하는 방식을 공랭식이라고합니다
공랭식 칠러의 경우 아래 그림처럼 냉매에서 발생하는 열을 직접 배출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
계통도에서 응축기FAN(2번)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가진 열을 대기로 방출합니다
'건축&공간 연구 > 건축설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조설비 플레넘 공간 (Plenum Space) (0) | 2022.01.17 |
---|